숨진 신생아들에게서 발견된 감염균은 강력한 항생제도 듣지 않는 이른바 '슈퍼 박테리아 급'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에서 이런 내성균이 발견된 경우는 4∼5% 수준으로 드문 만큼, 전문가들은 병원 감염이나 의료 과실 쪽에 무게를 싣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조은지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숨진 신생아 4명 가운데 3명의 혈액에서 유전자까지 똑같은 시트로박터 프룬디 균이 발견됐습니다.<br /><br />이대목동병원이 의뢰한 외부 조사팀의 정밀 진단 결과 이 감염균은, 내성이 아주 강한 이른바 슈퍼 박테리아 급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그람음성균의 하나인 시트로박터 프룬디 가운데도 5% 이하만 발견될 정도로 드문 세균입니다.<br /><br />신생아들에게서 발견된 감염균은 4세대 항생제도 듣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[이대목동병원 외부조사팀 관계자 : 세페핌이 내성이 돼서 굉장히 희귀한 거다, 올해는 1%더라고요. 100명 중에 한 명. 슈퍼 박테리아 급이죠, 한마디로.]<br /><br />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감염 경로와 사망 원인을 밝히는 데 결정적인 단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.<br /><br />특히 이대목동병원에서는 그동안 발견되지 않았던 균으로, 병원에 입원한 환자나 내성균을 가진 누군가의 감염균이 숨진 신생아에게 전달됐을 것으로 추정됩니다.<br /><br />의료진이나 의료기구, 주삿바늘이나 수액 등이 오염돼 신생아에게 옮겨졌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용동은 /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: 평소에 (이대목동병원에서) 나오던 세균이 아니고, 외부에서 온 세균인 것 같다는 것에 가능성을 둘 수 있는 상황이에요. 환자나 의료진, 기구들 검사하면 나올 겁니다.]<br /><br />보건당국은 신생아들에게 어떤 처치가 있었는지, 무슨 약을 언제, 어떻게 썼는지 의료행위를 정밀하게 파악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조은지[zone4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122019505345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